도올 김용옥 제34호 20071103 입력
가버나움(Capernaum)은 예수가 갈릴리선교의 가장 중요한 거점으로 삼은 곳이다. 요한복음은 예수의 왕성한 사역 시기에 예수의 식구가 모두 가버나움으로 이사 가서 산 것으로 묘사하고 있다. 이 시나고그(synagogue)는 가버나움에 자리잡고 있는데 그 옆에 베드로의 집이 있다. 내가 1978년에 갔을 때만 해도 소박한 어촌의 모습을 지니고 있었는데 지금은 너무 꾸며져서 원래의 모습이 잘 보이지 않는다. 시나고그 즉 회당은 구약의 세계에서는 별 의미가 없다. 구약의 세계에서는 예루살렘 성전만을 기도의 중심처로 생각했다. [임진권 기자]
담화복음서란 예수의 사후에 예수의 가르침을 사모하는 사람들이 모여 존경해 마지않은 예수님의 훌륭한 말씀들을 기억하고, 그것을 기록해놓은 것을 말한다. 만약 예수를 따르던 자들이 사후에도 계속 모임을 갖고 어떠한 운동을 계속했다면 이러한 자료의 생성은 너무도 자연스러운 결과였을 것이다. 일례를 들면, 함석헌의 스승인 다석 유영모(柳永模, 1890~1981) 선생이 돌아가신 후에 그를 사모하는 사람들이 모여 기억을 더듬어 생전의 그의 말씀들을 기록하여 어록을 만들었다면, 그것은 너무도 자연스러운 사건일 것이다. 그리고 그러한 일들은 대체로 다석 선생을 직접 뵌 사람들이 생존해 있을 시기에 만들어진다. 사망 직후에는 어수선하고 경황이 없어 그러한 작업은 이루어지기가 어렵다. 기억이 희미해갈 즈음에 안타까움과 사모의 정이 강해지고 생활에도 여유가 생기면 사람들이 그러한 편집을 강행하게 된다. 대강 사후 20년경으로 잡는다면, AD 50년 전후로 해서 예수라는 역사적 인물에 대한 어록이 편찬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크리스티안 헤르만 바이세가 ‘두 자료 가설’(TDH)의 핵심으로서 이미 19세기 전반에 Q라는 어록자료를 발견했지만, 그것은 어디까지나 가설에 지나지 않았다. 물론 지금까지도 Q자료는 가설적 자료임에 틀림이 없다. 그러나 Q자료의 강력성은 그것이 전 지구상의 모든 기독교인이 유일한 신앙근거로 삼고 있는 가장 권위있는 신약성서 자체 내의 자료라는 사실에 있다. 그것은 새로운 자료가 아니라 바이블 그 자체인 것이다. 아무리 기발한 정통자료가 새로 발견되어본들(일례를 들면, 최근 공개된 유다복음서 등), 기독교인들은 그것을 정경의 개념 속에 편입시키질 않는다. 그리고 그냥 해괴한 외경(apocrypha)이라고 치지도외해 버리면, 신앙의 새로운 근거로서의 자격이 없어지고 만다. 기독교인들의 신앙의 아성에 충격을 던질 수 있는 새로운 자료란 근원적으로 불가능한 사태에 속하는 것이다. 그러나 Q자료는 정황이 다르다.
저희가 가버나움에 들어가니라. 예수께서 곧 안식일에 회당에 들어가 가르치시매, 뭇사람이 그의 교훈에 놀라니…(막 1:21~22). 예수를 사모하는 한 수사가 도착하여 감격의 울음을 터뜨리고 있다. 예수는 바로 이곳 회당에서 말했다: “내 살을 먹고 내 피를 마시는 자는 내 안에 거하고 나도 그 안에 거하나니.”(요 6:56).
Q자료가 로기온자료, 즉 가라사대 파편의 모음인 어록(語錄)이라는 사실은 이미 신학자들 사이에서 계속 확인되어왔다. 그리고 이미 1907년에 베를린대학의 교회사·신학교수인 아돌프 폰 하르낙(Adolf von Harnack, 1851~1930)은 Q자료를 희랍어 원문으로 재구성하는 데 성공했다. 『예수의 어록』(Spruche und Reden Jesu)이라는 책 속에서 Q희랍어 원문뿐만 아니라 Q의 어휘표, 문법, 문체, 구성양식과 원래의 순서까지 밝혀 놓았다. 하르낙은 예수의 복음은 교회의 법령이나 교리와 전혀 무관한 것이며, 복음이 현대사회에서 의미를 지니고자 한다면 ‘하나님과 그리스도’라는 도그마로부터 완벽하게 해방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기독교라는 종교는 오직 인간의 역사 속에서 발전하는 과정일 뿐이라고 사가로서의 정직한 신념을 밝혔다. 이러한 그의 리버럴한 입장 때문에 프러시아 교회 최고공의회는 그가 베를린대학에 교수로 취임하는 것을 거부했지만, 그를 보호하고 교수 발령을 강행한 것은 다름 아닌 비스마르크 재상(Chancellor Otto von Bismarck, 1815~98)이었다.
그러나 Q자료는 이러한 신학자들의 끊임없는 노력에도 불구하고 일반인들에게 알려지지 않았다. 왜냐하면 그것은 어디까지나 가설적 자료였기 때문이었다. 신학자들이 성경을 공부하는 유용한 수단으로서 활용하기는 했을지언정, 그 실체를 일반에게 공개하는 데는 무리가 따랐던 것이다. 그런데 Q자료가 가설이 아닌 사실이라는 확신을 심어준 사건이 바로 1945년 나그함마디 지역에서 아부 알 마지드(Abu al-Majd)라는 15세 소년이 사바크를 캐기 위해 곡괭이질을 하다가 우연히 발견하게 된 도마복음서의 출현이었던 것이다. 도마복음서가 “예수 가라사대”로만 이루어진 어록이라는 사실이 실체로서 눈앞에 드러났을 때 가장 경악한 것은 Q자료 신학자들이었다. 그들의 Q가설이 단순한 가설이 아니었다는 물증(物證)이 만천하에 드러나게 된 것이다. Q자료는 그 범위를 정확히 정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지만 대체로 82개 정도의 가라사대 파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도마복음서는 114개의 가라사대 파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마복음서의 3분의 1이 정확하게 Q자료와 중복될 뿐 아니라, 도마복음서의 나머지 부분도 거의 다 현재 공관복음서의 기록들과 내면적 연관성이 확보된다. 도마복음서는 우리가 흔히 치부하는 ‘외경’이라는 개념으로 처리될 성격의 문서가 아닌 것이다. 즉 Q자료와 동일한 계열의 또 하나의 Q자료였던 것이다. Q자료가 마가복음에 선행한 자료라는 것은 너무도 확실하다. Q자료나 도마복음서의 원형은 이미 AD 50년 전후에 성립했던 것이다.
그런데 왜 현존하는 신약성서의 일부인 Q자료가 그렇게 대단하다고 소란을 피워야 할까? 도대체 뭐가 그다지도 새롭단 말인가? 결론부터 이야기하자면 도마복음서라는 문서의 출현은 Q자료를 가설적 허깨비가 아닌 실체(實體)로 드러냈고, Q자료라는 실체는 예수에 대한 우리의 인식을 혁명시키기 시작했던 것이다.
앞서 4대 성인 이야기를 할 적에 이미 언급했지만 예수에게서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이적과 부활이었다. 신이 아닌 사람이 십자가에 못 박혀 죽었다가(crucifixion) 다시 살아났다(resurrection)는 기적이 과연 가능할까? 우리는 물어야 한다. 과연 예수를 사랑하고 믿는다는 행위가 꼭 예수의 죽음과 부활을 믿어야만 비로소 가능한 것인가? 이러한 전제는 ‘사도신경(Apostolicum)’을 외우기를 강요하는 권위조직 속에서는 매우 유의미할지 모르겠다. 그러나 사도신경이란 본시 교회의 권위조직과 연계된 후기 사도들의 신경에 불과한 것이다. 그것은 3·4세기경에 날조되어 7세기 초에나 오늘의 형태가 되었고, 십자군전쟁의 와중에 있었던 교황 이노센트 3세(1198~1216) 때에나 비로소 공식문건이 되었던 것이다. “본디오 빌라도에게 고난을 받으사, 십자가에 못 박혀 죽으시고, 장사한 지 사흘 만에 죽은 자 가운데서 다시 살아나시며, 하늘에 오르신” 예수를 믿는다고 고백해야만 꼭 예수를 믿는 것일까?
우리가 예수를 믿는다고 하는 것은 살아있는 예수의 ‘말씀’을 믿는 것이다. 부활하여 지금 하늘에 있든지 말든지 간에, 이미 죽어버린 예수에 관한 ‘이야기’를 믿는 것이 아니다. 예수가 죽었다 부활했다 하는 것은 어디까지나 ‘이야기’이지 ‘말씀’이 아니다. 그것은 역사적으로 사도 바울이라는 사람의 환상적 체험 속에서 생겨난 이야기일 뿐이다. 그 이야기를 심오한 철학적 관념으로 해설한다 해도 그것은 어디까지나 예수에 관한 타인의 담론이지 예수 자신의 말씀이 아니다. 그 ‘말씀’이 아닌 ‘이야기’를 최초로 문서화한 천재가 마가였다. 이야기 즉 내러티브(narrative)란 말씀을 사이사이에 삽입한 하나의 드라마다.
마가복음은 예수의 세례와 전도와 수난과 죽음과 부활을 하나의 통일된 시퀀스를 지니는 드라마로서 엮어낸 이야기인 것이다. 말씀집에는 드라마적 요소가 삽입될 가능성이 별로 없다. 가라사대 파편(sayings gospel)은 소박하고 진실한 한 인간의 생각이 표현된 언어의 모음일 수 있지만, 이야기복음서 즉 담화복음서(narrative gospel)는 그 인간의 생애 전체를 패션드라마로서 제시하고자 하는 ‘화려한 구라’일 수가 있는 것이다.
놀랍게도 Q자료 속에는 예수가 그리스도라는 믿음이 없다. 그의 가르침이 유대교의 대척점으로 묘사되고 있지도 않다. 그의 탄생도 없고, 그의 죽음도 없다. 더더욱 부활은 없다. 그의 죽음이 비극적이거나, 신적인 것이거나, 인류의 구원을 전제로 한 것이라는 황당한 전제가 없다. 그가 세상을 하루아침에 변화시키거나 심판할 것이라는 이야기가 전혀 없다. 사람들은 그를 그의 이름으로 경배하기 위하여 모이지도 않았고, 그를 신으로 숭배하지도 않았고, 그에 대한 기억을 찬송이나 기도나 제식으로 활용하지도 않았다. Q자료 속의 사람들은 예수를 자기들이 처한 세상의 고난과 역경을 이겨내도록 만들어주는 지혜로운 교사로서만 생각했을 뿐이다. 이것이 바로 공관복음서 속의 예수의 참모습이라는 위대한 사실이 도마복음서를 통하여, 그리고 Q자료를 통하여 밝혀지기 시작한 것이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참고: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